해외에서 돈을 보내거나 받을 일이 생겼을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정보 중 하나는 바로 BIC 코드(Bank Identifier Code)입니다. BIC 코드는 흔히 SWIFT 코드라고도 불리며, 전 세계 은행 간 송금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번호입니다. 이 글에서는 BIC 코드의 개념과 중요성, 그리고 국내 주요 은행들의 BIC 코드 목록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BIC 코드란?
BIC(Bank Identifier Code)는 국제은행 간 금융거래를 위해 은행을 식별하는 코드입니다. 이는 SWIFT(Society for Worldwide Interbank Financial Telecommunication)에서 정한 표준으로, 종종 SWIFT 코드라고도 불립니다.
BIC 코드는 전 세계 200여 개국에서 사용되며, 총 8자리 또는 11자리로 구성됩니다.
📌 BIC 코드 구성 예시
예를 들어, 국민은행의 BIC 코드는 CZNBKRSE입니다. 이 코드를 해석해보면:
- CZNB: 은행 코드 (국민은행)
- KR: 국가 코드 (대한민국)
- SE: 지역 또는 지점 코드 (본점: 서울)
지점 코드가 포함되지 않으면 8자리로만 구성되며, 이는 본점을 의미합니다.
✅ BIC 코드가 왜 중요한가?
국제송금이나 해외결제를 진행할 때, BIC 코드가 정확하지 않으면 송금이 지연되거나 실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송금인이 해외에서 송금할 경우, 수취인의 은행 BIC 코드와 계좌번호, 예금주명 등이 일치해야만 송금이 제대로 처리됩니다.
BIC 코드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필수적입니다.
- 해외에서 한국으로 송금받을 때
- 한국에서 해외로 송금할 때
- PayPal, 해외 증권사 등과 연계한 입출금 시
- 외화 환전이나 해외 결제 계좌 연결 시
🏦 국내 주요 은행 BIC 코드 목록 (2025년 기준)
아래는 국내 주요 은행들의 BIC 코드(본점 기준)를 정리한 표입니다. 블로그 독자분들이 쉽게 찾아보실 수 있도록 가나다순으로 정리했습니다.
은행명 | BIC 코드 | 영문 은행명 |
기업은행 | IBKOKRSE | Industrial Bank of Korea |
국민은행 | CZNBKRSE | Kookmin Bank |
농협은행 | NACFKRSE | NongHyup Bank |
대구은행 | DAEBKR22 | Daegu Bank |
부산은행 | PUSBKR2P | Busan Bank |
산업은행 | KDBKKRSE | Korea Development Bank |
새마을금고중앙회 | MGCUKRSE | National Credit Union Fed. |
수협은행 | NFFCKRSE | Suhyup Bank |
신한은행 | SHBKKRSE | Shinhan Bank |
씨티은행 | CITIKRSX | Citibank Korea |
우체국 | SHBPKRSE | Korea Post (Postal Bank) |
우리은행 | HVBKKRSE | Woori Bank |
전북은행 | JEONKRSE | Jeonbuk Bank |
제주은행 | JJBKKRSE | Jeju Bank |
하나은행 | HNBNKRSE | Hana Bank |
한국씨티은행 | CITIKRSX | Citibank Korea |
케이뱅크 | KEBKKRSE | K Bank |
카카오뱅크 | KKUBKRSE | Kakao Bank |
토스뱅크 | TOSSKRSE | Toss Bank |
※ 일부 은행은 지점에 따라 BIC 코드 뒤 3자리가 다를 수 있습니다. 본점 외 지점으로 송금하는 경우, 해당 지점의 BIC 코드를 별도로 확인해야 합니다.
🌐 BIC 코드 vs SWIFT 코드 vs IBAN – 무엇이 다른가?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BIC 코드와 SWIFT 코드, 그리고 IBAN입니다. 간단하게 비교해 보겠습니다.
항목 | 정의 | 사용국가 |
BIC 코드 | 은행 식별을 위한 고유 코드 (SWIFT에서 관리) | 전 세계 |
SWIFT 코드 | BIC 코드와 동일한 개념 | 전 세계 |
IBAN | 계좌번호에 국가·지점·계좌정보가 포함된 코드 |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 사용 |
한국은 IBAN을 사용하지 않으며, BIC 코드 + 계좌번호 조합으로 국제송금을 진행합니다.
✈️ 해외송금 시 필요한 기타 정보
국내로 해외 송금을 받을 경우, 아래 정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수취인 이름 (영문 이름, 여권과 동일하게)
- 수취은행 영문명
- BIC 코드 (SWIFT 코드)
- 수취인 계좌번호
- 수취인 연락처
- 수취인 주소 (영문)
예를 들어, 국민은행 계좌로 송금을 받을 경우:
- 영문명: KOOKMIN BANK
- BIC: CZNBKRSE
- 계좌번호: 123456-78-901234
- 예금주명: HONG GILDONG
📱 인터넷 뱅킹과 BIC 코드 자동 조회
대부분의 국내 은행 인터넷뱅킹이나 앱에서는, 해외송금 메뉴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BIC 코드가 입력되는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수취인 입장에서는 해외에서 송금이 들어올 때, 정확한 정보를 미리 안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팁: BIC 코드는 은행 공식 홈페이지 또는 SWIFT 공식 사이트(https://www.swift.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 국제거래의 핵심, BIC 코드
해외에서 송금받을 때 자주 발생하는 오류는 대부분 BIC 코드 오기나 영문 이름 불일치 때문입니다. 작은 실수가 며칠 간의 송금 지연이나 반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BIC 코드 확인은 필수입니다.
블로그 독자분들도 앞으로 해외에서 송금을 받을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자신의 거래 은행 BIC 코드를 정확하게 파악해 두시기 바랍니다.